» 생활경제 » 금융지식 » 예금과 적금의 차이 2가지

예금과 적금의 차이 2가지

예금과 적금의 차이

은행에서 만나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 예금과 적금이죠.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이제 막 돈을 모으기 시작하는 단계라면 예금이 아니라 적금에 가입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적금 만기가 되어 적금을 타거나 아니면 상여금처럼 목돈이 들어왔을 때 예금에 가입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즉, 적금은 돈을 모아서 목돈을 만들고 예금은 목돈을 불리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라는 것만 알면 사실 예금과 적금의 차이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예금과 적금의 차이에 대해 좀 더 알아서 나쁠 것은 없겠지요. 다음 두 가지만 확실히 이해하세요.

예금과 적금의 차이 #1

통장에 돈을 넣는 방식에서 차이가 납니다.

(정기)적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통장에 넣습니다. 그러나 예금은 예금 통장 개설할 때 한 번 목돈을 넣고 만기까지 그냥 기다리죠.

적금은 왜 매달 넣고 예금은 한 번만 입금하냐고요?

적금은 작은 금액을 매달 넣는 것이고, 예금은 큰 목돈을 한번에 넣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10만원씩 적금 통장에 넣고, 1천만원은 예금 통장에 넣는 것입니다. 매달 1천만원씩 적금을 부을 수 있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많지 않죠. 해서 1천만원이라는 목돈은 적금이 아니라 예금 통장에 넣는 것입니다.

그런데 1천만원을 보관하고 있다가 12로 나누어 매달 83만원씩 나누어 1년짜리 적금에 붙는 것은 어떨까요?

이는 예금과 적금의 이자 계산 방식 차이를 모르는 바보 같은 짓입니다. 잠시 후에 알아 보겠지만 1천만원을 한번에 예금 통장에 넣는 것이 12회에 걸처 나누어 적금에 넣는 것보다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적금은 정기 적금과 자유 적립식 적금이 있는데요, 정기적금은 매월 같은 금액을 넣는 것이고 자유 적립식 적금은 매월이 아니어도 상관 없고 같은 금액이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그저 돈이 생겼을 때 금액에 상관없이 통장에 넣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또한 자유적립식 적금을 만들 때 목독을 넣은 후 만기까지 추가 불입을 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예금과 다르지 않습니다.

예금과 적금의 차이 #2

앞에서 예금으로 넣는 것이 목돈을 쪼개 적금으로 넣는 것보다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금 상품과 예금 상품의 이자율을 비교해 보면 적금의 이자율이 예금 이자율보다 더 높습니다. 여기서 ‘이자율은 적금이 더 높은데 왜 목돈을 예금에 넣어 두어야 하지?’ 하고 혼란을 일으키곤 합니다.

적금 이자율이 예금 이자율 보다 높지만...

위 이미지는 금감원의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에서 적금 이자율과 예금 이자율을 비교해 본 스크린 샷입니다. 하이라이트된 부분을 보면 적금 이자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적금 이자율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예금의 이자가 더 많게 되는 이유는 적금과 예금은 은행에 돈이 머무르는 시간에 중요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적금 이자 계산 방식

은행은 은행에 돈이 들어와 있는 기간 동안만 이자를 지급하기 마련입니다. 돈이 들어 오지도 않았는데 돌어올 예정이라고 해서 이자를 붙여 주지는 않죠.

연 이자율이 3%인 12개월 만기인 적금에 매달초 10만원씩 적금을 붙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첫 번째 불입액 10만원은 만기까지 12개월 은행에 들어 있게 됩니다. 은행은 10만원×3%=3천원의 이자를 붙여 줍니다.
  • 두 번째 불입액 10만원은 만기까지 11개월만 은행에 들어 있게 됩니다. 은행에서 연 이자율 3%를 다 쳐줄 이유가 없죠. 3%의 \frac{11}{12}만큼만 이자를 줍니다. 그래서 두 번째 불입액 10만원에 대한 이자는 10만원×3%×\frac{11}{12}=2,750원입니다.
  • 세 번재 불입액 10만원에 대한 이자는 10만원×3%×\frac{10}{12}=2,500원입니다.
  • 이런 식으로 계산을 해보면 마지막 12번째 불입액 10만원에 대한 이자는 10만원×3%×\frac{1}{12}=250원이고, 첫 번째 불입액에 대한 이자에서부터 마지막 불입액에 대한 이자까지를 다 더하면 총 이자는 19,500원이 됩니다.

결국 10만원씩 12번 총 120만원의 원금에 19,500원의 이자가 붙게 됩니다.

예금 이자 계산 방식

이번에는 목돈 120만원이 생겨 1년짜리 정기예금 계좌를 개설하는 경우, 이자가 얼마나 생겨 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적금 이자율보다 낮은 것이 현실적이니까 예금의 연 이자율은 2%로 가정해 보죠.

예금은 첫 달에 예금 계좌를 개설 하면서 돈은 넣으면 그 돈은 12개월 동안 은행에 있게 되므로, 처음에 넣은 목돈 120만원에 대해 1년치 이자율 2%를 모두 적용해 줍니다. 따라서 예금의 이자는 120만원×2%=24,000원이 됩니다.

원금의 총 크기는 예금이나 적금이나 120만원으로 같지만, 예금 이자는 24,000원으로 적금 이자보다 4,500원이 더 많습니다.

이처럼 예금이자율이 적금이자율보다 낮아도 결국에는 예금의 이자가 더 많게 되는 것은 적금은 매달 넣는 적금 불입액이 은행에 있는 기간은 만기가 가까워 질 수록 줄어드는 적금의 기본 특성 때문입니다.

참고: 적금의 실제 이자율 계산 공식

적금 실제이자율 공식

위 공식에 의해 계산된 적금 실제 이자율을 적금 총 불입액에 곱해 주면 적금의 총 이자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예로든 1년 만기 적금 연 이자율이 3%인 경우 실제 이자율은 3\% \times \frac{(12+1)}{24}=1.625\%가 되고 총 불입액 120만원에 실제 이자율 1.625%를 곱하면 적금 이자 19,500원을 바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적금 실제 이자율 간단 공식 도출 과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공식만 알고 있으면 되니 관심 없는 분은 도출과정은 패스해도 됩니다.

적금 실제이자율 공식 도출

물론 예금과 적금의 이자 차이가 많이 나서 적금의 이자율이 예금 이자율 보다 많이 높다면 목돈을 쪼개서 적금에 불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1년 만기 예금 이자율이 2%라면 1년 만기 적금 이자율이 3.69231% 이상이라면 적금이 무조건 유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금 이자율에 비해 적금 이자율이 얼마일 때 적금이 무조건 유리해 지는지는 위의 적금 실제 이자율 간단 공식을 응용하여 금방 계산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이런 정도까지 적금 이자율이 높아 지지는 않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할게요.

한편, 예금 이자율 보다 더 높은 자유적립식 적금이 있다면, 목돈을 자유적립식 적금에 넣어 두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차이 #1 끝부분에서 본 것처럼 자유적립식 적금에 목돈을 한꺼번에 넣는 것은 사실상 예금과 같기 때문에 이자 기간 계산이 예금과 같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이런 식으로 예금보다 더 유리한 자유적립식 적금 상품을 가끔 발견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잘 모르겠습니다.

결론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은행에 돈을 넣는 방식의 차이와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적금 이자율이 예금 이자율보다 많이 높은 경우 무조건 적금이 유리할 수 있지만, 이런 정도까지 적금 이자율이 예금 이자율 보다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대게의 경우 적금보다는 예금에 넣는 것이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길입니다. 이런 이유로 ‘적금으로 돈을 모으고 예금으로 돈을 굴린다’는 말이 생겨났을 겁니다.

이 정도면 적금과 예금의 차이는 충분히 이해 하셨을 것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염두에 둘 것이 하나 더 있다면, 그것은 바로 목돈을 굴리는 방법(또는 목돈을 불리는 방법)에는 예금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펀드 투자도 있고, 주식 투자도 있고, ELS와 같은 파생결합 상품도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예금 이자율이 3%도 안 되는 시대)에 재테크를 하려면 예금 비중을 줄이고 투자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기억해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