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경제 » 금융지식 » 신용점수 산정 기준 이해하기

신용점수 산정 기준 이해하기

신용점수 산정 기준을 이해하면 신용관리를 위해 어떤 행동이 필요한지 답이 나옵니다.

2021년부터는 개인 신용 관리 체계가 신용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 바뀌었습니다. 앞으로는 신용등급이 아니라 신용평점(신용점수)을 기초로 금융 생활을 하게 되는 거죠.

신용평점 산정 기준을 알아 보기 전에 신용등급 체계에서 신용점수 체계로 변하는 이유부터 점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신용점수 올리기

신용평점으로의 개인 신용 관리 체계 변화의 의미

2021년 이전에는 개인의 신용 점수를 구간으로 나누어 1등급에서 10등급으로 나눈 신용등급을 신용관리 기준으로 삼았지만, 2021년부터는 신용등급이 아니라 1점에서 1,000점 사이에서 정해지는 신용점수 체계로 개인 신용을 관리해야 합니다.

등급 체계에서 평점 체계로의 변화가 당신에 주는 의미는 2가지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신용평점 관리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10단계의 등급 체계에서 1점~1,000점 사이의 평점 체계로의 변화는 보다 세밀하게 개인 신용 상태를 평가한다는 것입니다. 세밀해진 만큼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신용등급 체계에서는 해가 바뀌어도 같은 등급을 유지할 수 있지만 신용평점 기준 체계에서는 신용 점수에 변동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마도 1년의 기간 동안에도 여러 번의 신용 점수 변동이 있게 될 것입니다. 예전보다 신용 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2 금융 거래시 신용등급 체계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건 단점이지만, 좋은 점도 있습니다.

예전 같으면 신용 점수 1점 차이로 등급이 나뉘어 대출이 거절되거나 승인되더라도 한도가 낮게 나오던 피해가 줄어들게 됩니다.

신용등급 체계에서는 구간을 나누어 등급을 매기기 때문에 1점 차이에도 등급이 달라질 수 있지만, 신용 평점 기준에서는 이런 일은 애초에 생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 개인 신용 관리 기준을 신용 평점으로 바뀐 것은 선진국의 사례를 따르는 것이기도 하지만, 등급 격차로 생기는 신용등급 체계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신용평점 산정 기준

신용점수를 산정하는 기관은 두 곳입니다. 하나는 KCB의 올크레딧이고 다른 하나는 NICE 지키미 입니다.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에서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를 발급 받을 때 또 신용카드 할부 수수료가 정해질 때 은행과 신용카드사는 올크레딧과 NICE 지키미에서 산정한 신용점수를 모두 참고 합니다.

은행과 신용카드사는 두 기관에서 제공하는 신용점수와 자신들만의 정보를 이용해서 고객과의 금융 거래를 하게 됩니다.

자신들만의 정보를 구축하는 시스템을 일컬어 금융회사 내부 신용평점 시스템(CSS)이라고 하는데요,

CSS에서 개인 신용 평점을 어떻게 매기는지도 알면 좋겠지만, 이 정보는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올크레딧과 NICE 지키미의 신용평점 산정 기준은 공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분석할 수 있는 신용평점 산정 기준은 올크레딧과 나이스 지키미 두 기관에서 공개한 기준입니다.

두 기관의 신용평점 산정 기준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올크레딧과 나이스 지키미의 신용평점 산정 기준

올크레딧(KCB) 나이스 지키미
일반(%) 장기연체 경험(%) 일반(%) 장기연체 경험(%)
1. 상환이력 21% 32% 29.7% 47.8%
2. 부채수준 24 25 25.5 42.8
3. 신용거래 기간 9 5 13.5 9.4
4. 신용거래 형태 38 27 31.3 -
본인 직접등록 정보 8 11 - -

두 곳 모두 신용평점 산정을 장기 연체 경험이 있는 사람과 장기 연체 경험이 없는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하고 있네요.

일반인의 경우 두 곳 모두 신용 거래 형태를 고려하는 비중이 가장 큰 반면, 장기 연체 경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상환 이력을 가중 큰 비중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표에서 산정 기준의 적용 비율은 전체 평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인에 따라서 적용 비율은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본인이 직접 등록하는 정보(통신비 납부, 건강보험료 납부 등)에 대해 올크레딧은 꽤 큰 비중(일반인 8%, 장기 연체 경험자 11%)을 두고 고려하는 반면, 나이스 지키미는 비중을 전혀 두고 있지 않습니다.

위 표만 보면 나이스 지키미는 본인 직접 등록 정보는 신용점수를 산정할 때 고려하지 않는 것 같지만, 나이스 지키미 측에 따르면 그렇지는 않다고 합니다.

아마도 개인에 따라 다른 비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고 고려하는지에 대해 발표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두 기관 모두 점수 산정 기준은 비슷하나 적용하는 비율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상환 이력에 대해 연체 이력이 없는 일반인에 대해 올크레딧은 21%, 나이스 지키미는 29.7%로 서로 다른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적용 비율 차이는 중요도가 크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가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해당 금융기관은 올크레딧과 나이스 지키미의 신용평점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신용평점 산정 기준입니다. 아래에서 4가지 신용 평점 산정 기준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신용평점 산정 기준

1. 상환 이력

상환 이력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체 사실 여부
  2. 연체 사실이 있는 경우 연체 기간
  3. 연체를 해결했다면 해결 후 현재까지의 기간

상환 이력은 부채를 정해진 시간에 잘 상환하고 있는지를 보는 기준입니다. 잘 상환하고 있다면 긍정적으로 보고 연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봅니다.

연체 해결 후의 시간이 오래 경과될수록 신용 평점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그런데 올크레딧이나 나이스 지키미에서 말하는 연체의 개념은 하루나 이틀 정도의 연체가 아닙니다. 두 곳에서 평점 산정에 고려하는 연체의 개념은 3가지입니다.

  1. 10만 원 이상의 5 영업일 연체
  2. 5 영업일 이상 90일 미만의 연체
  3. 90일 이상의 연체

1번은 단기 연체, 2번과 3번은 장기 연체입니다. 장기 연체의 경우 최소 1년 최장 5년 동안 기록으로 남게 됩니다. 이는 1년 ~ 5년 동안 기록으로 남아 신용점수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두 곳의 연체 개념에 따르면 1,2일 정도의 연체는 기록으로 남기지 않고 신용평점 산정에도 활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짧은 기간의 연체라도 횟수가 많으면 신용평점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부채 수준

부채 수준에서 보는 것은 두 가지 입니다.

  1. 소득 대비 적절한 수준의 부채를 보유 하고 있는가
  2. 부채를 잘 상환하고 있는가

적절한 부채 수준을 넘어선 부채를 보유하고 있다면 신용평점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여기서 적절한 수준이라는 게 어느 정도 수준인지에 대해서는 공개된 것이 없습니다만, DTI 비율을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자신의 DTI 비율을 계산해 보고 적정 수준의 DTI 비율을 초과하는 부채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채를 정해진 시간에 성실하게 납부하면 신용평점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신용 점수 올리기에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부채가 전혀 없는 경우와 저위험 부채를 어느 정도 보유한 경우 두 가지 중 신용점수 올리기에 어느 경우가 더 도움이 될까요?

저위험 부채를 성실히 상환해 나가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일부러 대출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신용점수 올리기에는 최소한 한 번 이상의 성실 상환 이력을 갖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신용 거래 기간

신용 거래 기간은 할부 개월 수와 착각하면 안됩니다. 할부 개월 수가 긴 것은 신용 점수 올리는 데 부정적 영향을 주니까요.

신용 거래 기간은 신용카드 개설 후 얼마나 시간이 지났는가를 의미합니다. 이 기간이 길 수록 신용평점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이 기준은 아무래도 나이와 관계가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은 신용 거래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고 나이가 들수록 그 기간이 늘어나기 마련이니까요.

그래서 올크레딧이나 나이스 지키미의 신용평점 산정 기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한편, 쓰지 않는 신용카드가 있어서 해지나 탈회를 고려하는 경우, 오래 전에 발급 받은 카드는 되도록이면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4. 신용 거래 형태

연체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 신용평점 산정 기준 중에서 신용 거래 형태는 가장 중요합니다. 올크레딧과 나이스 지키미 모두 이 기준을 가장 높은 비중으로 고려하니까요. (나이스 지키미 31.3%, 올크레딧 38%)

신용 거래 형태에서 보는 것은 두 가지 입니다.

  1. 대출 거래 형태
  2. 체크카드·신용카드 사용 형태

대출 거래 형태 기준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대출이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 부채인가, 대출을 얼마나 많은 금융 기관으로부터 받았는가, 다른 사람의 채무에 대해 보증을 섰는가 등을 봅니다.

보유 채무 중 고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경우, 여러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경우, 남의 대출에 보증을 서 준 경우 모두 신용점수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사용 형태는 일상적인 카드 사용 형태를 보는 기준입니다. 할부 보다는 일시불 결제가 신용점수 올리기에 도움이 됩니다.

한편, 체크카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신용카드만 사용하는 것도 신용점수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소한 금액 결제는 체크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올크레딧과 나이스 지키미의 신용평점 산정 기준을 살펴 봄으로써 신용관리에 도움 되는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두 곳에서 공개한 정보를 보고 제가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이니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절대적 기준이나 팁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