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계산 어떻게 하나? 공식, 계산법, 의미

실업률 계산 방식은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눈 후 100을 곱하는 것입니다.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 수를 더한 인구입니다. 실업률 계산 공식 몇 가지 변형된 실업률 계산 공식이 있을 수 있는데요, 우선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활동인구는 실업자 수에 취업자 수를 더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도 가능합니다.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를 뺀 수치와 같기 때문에 … 더 읽기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은 무엇 때문에 나타났나?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에서 ‘스태그’,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tflation)에서 ‘플레이션’을 따서 만든 단어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입니다. 단어 자체가 스태그플레이션의 뜻을 알려줍니다. 즉,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이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원인이 있기 마련이니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도 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해 알아 볼텐데요, 미리 말씀드릴 것은 스태그플레이션 원인은 지금도 논란 중이라는 사실입니다. 어쩌면 아직 … 더 읽기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그리고 그 영향은?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모두가 스태그플레이션은 피하고 싶어 합니다. 대체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이길래 그럴까요? 인플레이션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의미한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인데요,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경기 침체’입니다. 즉,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죠. 인플레이션도 힘든데 경기까지 나쁜 겁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실업률도 높습니다. 그래서 높은 실업률과 함께 높은 인플레이션율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도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적으론 이상 현상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 더 읽기

필립스 곡선의 의미와 평탄화 현상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이 서로 상충관계(역관계)임을 보여주는 곡선입니다. 필립스 곡선이란? 필립스 곡선은 영국 경제학자 윌리엄 필립스(A.W Phillips)의 이름을 딴 곡선입니다. 필립스가 원래 연구했던 것은 실업률과 명목임금인데요, 1861년부터 1957년까지의 영국 실업률과 명목임금을 조사해 보았더니 실업률과 명목임금에는 서로 상충 관계가 있더라는 것입니다. 실업률이 오르면 명목임금이 떨어지는 반면, 실업률이 떨어지면 명목임금은 오르더라는 거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발표한 필립스 … 더 읽기

GDP 갭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되는가?

GDP 갭은 GDP에 갭(차이)이 있다는 것인데요, 실질 GDP와 잠재 GDP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GDP는 그 자체로 중요한 지표죠. GDP와 관련된 경제 지표의 중요성도 만만치 않습니다. 경제 성장률을 볼 수 있는 실질 GDP, 물가 수준을 알아 볼 수 있는 GDP 디플레이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알아 볼 GDP 갭 역시 GDP와 관련된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 더 읽기

구축효과, 민간 투자 밀어내기는 실재 하는가?

구축효과

구축효과는 영어로는 crowding out effect 라고 합니다. ‘밀어내다’라는 뜻이죠. ‘구축(驅逐)’도 밀어내다는 뜻인데, 몰아서 쫓아낸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구축효과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이 역효과 때문에 서로 상쇄되어 경기 부양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정부 정책에 뭔가를 밀어내는 역효과가 있기 때문에 애초의 경기 부양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인데, 뭐를 밀어낸다는 것일까요? 구축효과가 밀어내는 것은? 밀어내는 것은 … 더 읽기

외부효과, 시장실패 그리고 외부효과의 내부화

외부효과

외부효과는 시장(市場)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외부’효과라고 합니다. 제가 보기엔 시장안에서 일어나는 지극히 내부적인 문제이지만, 모든 경제학자가 다 ‘외부’효과라고 하니 이 명칭을 따를 도리밖에는 없습니다. 명칭이 중요한 건 아니니까 외부효과란 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본 후 외부효과 사례와 외부효과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부효과란? 외부효과(externality)란 경제주체가 수행한 행위로 그 행위에 참여하지도 … 더 읽기

연평균 성장률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나?

연평균 성장률(Compounded Annual Growth Rate:CAGR)은 경제 관련 자료나 경영 보고서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얼마나 성장 했는지를 연 평균으로 따져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연평균 성장률은 연평균 증가율이기도 하고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연평균 수익률이기도 합니다.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연 평균 실질 GDP에 의한 경제 성장률을 알아 봄으로써 그 나라의 경제 전망을 예측해 볼 … 더 읽기

소비자 물가지수란? 공식, 계산 과정과 활용

소비자 물가지수란?

10년 전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 있는 물건 양과 현재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는 있는 물건 양은 다릅니다. 화폐의 구매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마련입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율이 얼마 인지를 계산할 때 소비자물가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과거의 금액이 현재는 얼마 정도 가치가 있는 지 환산해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느끼는 물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