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망치한 뜻과 유래

순망치한(脣亡齒寒) 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잃을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순망치한 뜻 순망치한은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입니다. 서로가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를 비유하기 위해 씁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는 수많은 나라가 강대국에 의해 흔적도 없이 사라졌는데요, 진(晉)나라와 인접했던 약소국 괵나라와 우나라도 일찌감취 의해 일찌감치 패망한 나라입니다. 괵나라와 우나라의 관계는 순망치한 관계에 있는 … 더 읽기

간담상조의 뜻과 유래 그리고 원래 의미

간담상조

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출 조 간담상조 뜻 ‘간과 쓸개를 서로 비추어 보여 준다.’는 뜻으로 속마음까지 터놓는 깊은 우정을 의미합니다. 간과 쓸개가 들어간 또 다른 사자성어로 충간의담(忠肝義膽)이란 말이 있습니다.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뜻하는 말입니다. 충간의담에서 볼 수 있듯이 간은 마음을, 담은 담력(용기)을 뜻합니다. 담(膽)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쓸개라는 뜻 … 더 읽기

수주대토의 뜻과 유래

수주대토(守株待兔)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나무 그루터기를 지켜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이지만, 문자 그대로의 뜻만 알고 있으면 안됩니다. 수주대토의 속 뜻을 알아야 하는데요, 상황에 따라 몇 가지 뜻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단은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을 기대하는 완고함(또는 우매함)’이란 뜻이 있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기로 합니다. 수주대토의 유래 즉, 이 말이 나오게 된 배경이 되는 이야기를 알고 … 더 읽기

각주구검 뜻과 유래

각주구검 뜻 각주구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배에 검을 잃어버린 지점을 표시하여 검을 찾는다.’란 뜻입니다. 문자 그대로의 뜻 만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고사성어죠. 각주구검이란 말이 유래하게 된 이야기를 이해하면 그 숨겨진 의미를 알 수 있게 되는데요, 그 이야기는 잠시 후에 소개하겠습니다. 각주구검이 의미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배는 물길을 따라 흘러가는데 빠뜨린 … 더 읽기

권토중래, 실패를 이기고 다시 서다

권토중래: 실패에 좌절하지 않고 다시 성공하다.

권토중래 뜻과 사용 예 권토중래(捲土重來)에서 중(重)자는 무거울 중으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지만 여기서는 ‘거듭’ 중으로 쓰였습니다. 권토중래의 문자 그대로 뜻은 ‘흙먼지 휘날리며 다시 돌아오다.’이지만, 숨겨진 뜻은 ‘실패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일어서다.’란 뜻입니다. 실패했지만 다시 힘을 쌓아 마침내 다시 성공하는 사람이나 회사 또는 조직에 대해 권토중래했다고 표현합니다. ‘권토중래’ 현대차라는 기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본 시장에서 … 더 읽기

사면초가의 뜻과 유래

사면초가 뜻과 사용 예 사면초가(四面楚歌)는 문자 그대로는 ‘사방에서 들려오는 초나라 노래’라는 뜻입니다. 전쟁에서 적에게 완전히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를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고립되어 있는 상태를 빗댄 러시아 ‘사면초가’…국제사회서 고립라는 기사는 여러 가지 사용 예 중의 하나입니다. 도움이 될 지원군도 없는 상태이니 원래는 자못 심각한 상황을 빗대어 쓰는 고사성어이지만, 요즘은 이보다는 약간 가벼운 상황을 빗대는 말로도 씁니다. 예를 … 더 읽기

건곤일척, 초·한의 마지막 승부에서 유래

건곤일척 뜻과 사용 예 乾: 하늘 건 坤: 땅 곤 一: 한 일 擲: 던질 척, 버릴 척 건곤(乾坤)은 태극기의 모서리에 있는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 중 왼쪽 상단에 있는 건괘와 오른쪽 하단에 있는 곤괘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천지’, ‘천하’ 또는 ‘하늘과 땅’을 뜻합니다. 일척(一擲)은 ‘한 번 던지다’이니, 건곤일척은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던지다’란 뜻입니다. 보통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