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경제 » 투자 » 익숙하지만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PER 란?

익숙하지만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PER 란?


PER는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수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낸 지표죠. 주식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들도 들어 보았을 법한 꽤 알려진 지표입니다.

많이 알려진 것에는 숨겨진 함정도 있는 법인데요, 주가수익비율의 개념을 알아 본 후 숨겨진 함정은 무엇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PER 란?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1 주당 순이익

1 주당 순이익을 EPS라고 하니 주가 ÷ EPS 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이 아니라 주당순이익을 분모로 쓰는 이유는 분자의 주가가 1주당 주가이기 때문입니다.

분자를 주가×발행주식총수인 시가총액로 하면 분모를 순이익으로 하여 계산해도 됩니다. 이 경우에는 시가총액 ÷ 당기 순이익’이 되겠네요.

PER(주가수익비율)은 원금회수기간을 의미

예를들어 어떤 기업 A의 주가가 10,000원 이고 주당 순이익 1,000원 이라면, PER는 10,000÷1,000=10(배)가 됩니다.

여기서 10(배)를 말로 설명하면 주당순이익이 매년 1,000원씩 난다면 10년 후에는 총 10,000원의 수익이 되어 투자한 1주의 주가 10,000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현재 주가수익비율이 10이라 하여 실제로 원금회수기간이 10년이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또 기업 실적에 따라 PER는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원금회수기간은 달라질 것입니다. 또한 기업 실적이 최악을 달려 아예 원금회복이 안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원금회수기간이라는 것은 큰 의미 없는 개념입니다. PER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지만,

주식투자를 할 때 원금회수기간을 보고 투자 하는 것은 아닌만큼(얼마나 수익이 날 것인지를 보고 투자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 원금회수기간이라는 것을 별 의미 없습니다.

PER의 역수는 투자 수익률을 의미

위의 예에서 A 기업의 PER가 10이 였으니 그 역수는 1/10=10% 입니다. 즉, A 기업에 투자할 경우 연 10%의 수익을 예상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의 역수는 ’주당순이익÷주가’ 이니 한 주(株)당 순이익이 얼마냐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는 바로 투자수익률을 의미합니다.

주가수익비율 역수는 PER가 원금회수기간이라는 것 보다는 쓸모가 있어 보입니다.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경우 수익률이 얼마나 날 것인지를 쉽게 예측해 볼 수 있으니까요.

PER는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HTS 나 여러 증권 정보 사이트에 미리 계산이 되어 있습니다. 비록 주가수익비율의 역수까지 친절하게 계산해 주지는 않지만요.

그러나 HTS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지표를 이용하여 투자를 할 때는 주의 해야 합니다. 함정이 있으니까요.

PER의 함정

PER는 그것이 원금 회수 기간을 의미한다거나 그 역수는 투자수익률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용한다기 보다는, 주가수익비율이 낮은가 아니면 높은가를 본 후 저PER(주가수익비율이 낮으므로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런데, 과연 저PER 또는 고PER의 기준은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요?

간단하게 10을 기준으로 하여 그 아래는 낮도ㄱ 하고, 그 위는 높다고 할까요? 실제로 이렇게 구분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를 절대로 믿으면 안 됩니다.

믿으면 안 되는 반증은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주식이 한창 치솟던 2004년 ~ 2007년 사이 상승을 주도하던 주식들의 PER는 30배가 넘었다는 점,
2014년에서 2015년 초에 한창 인기를 끌었던 컴투스 종목의 경우 2012년에 100을 넘기도 했다는 점,
어떤 기업은 해마다 급변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낮아진 연도는 기업 실적이나 운영에 뭔가 문제가 있는 연도로 저PER라는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
폐업 직전의 회사는 극도로 낮지만 이를 저평가로 볼 수는 없다는 점 등은 단순히 PER가 낮은가 아니면 높은가를 보고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증거들 입니다.

또, HTS, 신문, 주식 정보 사이트 등에서 마주 하게 되는 PER는 과거 정보로 계산되었다는 것도 함정입니다. 즉, 주당순이익이 지난 해(지난 결산기)의 정보라는 것이 문제 입니다.

주식에 투자 하는 것은 미래에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투자 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주당순이익도 과거의 수치가 아니라 예상 주당순이익이어야 합니다.

결론

가치투자가 존 네프는

PER은 주식시장 최고의 심판관이다. 이렇게 할지 저렇게 할지 헷갈릴 때에는 저PER주만 골라 매입하면 된다.

라고 하여 PER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가치투자에서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인데요, 워렌버핏이나 존 네프가 이용한 PER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과거 주당순이익으로 구한 것이 아닐 겁니다.

의미가 있기 위해서는 ’예상 주당 순이익’을 이용한 PER 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절대적인 수치(예컨대 10)를 볼 것이 아니라 우선 해당 기업의 PER가 최소한 3년 정도는 안정적인가를 본 후 해당 기업과 비슷한 기업의 것과 비교 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비슷한 기업이 없거나 비슷한 기업의 주가 수익 비율를 계산하기 힘들다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평균과 비교할 수 있을 것입니다.

PER, 가치투자에서 중요한 투자 지표이긴 하지만, 주의해서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