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몰비용은 기회비용과 대비하여 설명되곤 합니다. 기회비용은 의사결정을 할 때 꼭 고려해야 하는 비용이지만 매몰비용은 무시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왜 무시해야 하는지 일단 매몰비용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매몰비용 이란?
위키피디아 정의에 따르면 매몰비용은 이미 지출되었기 때문에 회수가 불가능한 비용입니다.
영어로는 sunk cost 라고 하는데 sunk의 여러 가지 뜻 중에 아마도 ‘가라앉은’ 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매몰비용은 엎질러진 물과 같다고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엎질러진 물을 다시 담을 수 없듯이 매몰비용을 회수할 수 방법은 없으니까요.
현명한 의사결정을 한다는 전제에서 보면 ‘회수불가능한 비용’은 이미 가라 앉아서 사라진 비용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습니다. 즉,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죠.
그런데 사람의 마음이란 그렇게 앞 뒤 자로 잰듯 똑 부러지지는 않습니다. 이른바 ‘본전’ 생각에 올바른 결정을 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종종 매몰비용 오류에 빠지기도 합니다.
매몰비용의 오류라고 할 때 대표적인 사례로 콩코드의 오류를 들곤 합니다.
매몰비용 오류의 대표적인 예: 콩코드의 오류
사진 출처: Henrysalome via 위키미디어
콩코드는 프랑스와 영국이 합작하여 만든 초음속 여객기입니다. 기존 여객기 속도보다 두 배 이상 빠를 것으로 기대 되었지만, 높은 생산비, 소음, 대기 오염, 기체 결함등으로 사업 전망은 매우 비관적이었습니다.
이때까지 들어간 개발 비용은 약 1조 6천억원. 프랑스와 영국은 이미 들어간 비용이 아까워 개발을 강행했습니다. 1969년부터 운행을 시작했지만 결국은 막대한 손실을 감당하지 못한 채 2003년 운항을 중단했습니다.
사업 전망이 안 좋은 것이 확실해 진 시점까지 지출된 비용 1조 6천억원은 사실 매몰비용이었습니다. 운행을 계속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 고려해서는 안되는 비용이었지요. 영국과 프랑스는 이 비용을 무시하지 못하고 운행을 계속함으로써 결국엔 더 큰 손실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매몰비용 오류
기업의 의사결정 영역에서뿐 아니라 개인도 매몰비용의 오류에 종종 빠지곤 하는데요, 다양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간혹 택시를 잡으려고 기다리지만 좀 처럼 지나가는 택시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기다린 시간이 아까워서 계속해서 택시를 기다리는 경우가 있지요. 이것 또한 지금까지 기다린 시간이 아까워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하지 못하는 예일 수 있습니다.
택시가 잘 지나다니지 않는 곳일 수도 있고, 자정 전후와 같이 택시가 잘 안 잡히는 시간일 수도 있습니다. 무작정 기다리는 것 보다는 이유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더 현명한 대처이죠.
주식투자에서도 매몰비용의 오류는 종종 일어 납니다. 투자한 주가가 떨어질 때 투자금이 아까워 계속해서 보유하거나 물타기를 하는 것도 이러한 오류일 수 있습니다.
물론 다시 반등할 수도 있지만, 대세 하락에 따른 결과일 수도 있고, 회사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를 고려 하지 않고 투자금이 아까워 손절매 타이밍을 놓친다면 더 큰 손실을 본다면 매몰비용의 오류에 빠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매몰비용은 기회비용이 제로라고 말합니다. 기회비용이 제로이니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할 필요가 없다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결정을 내릴 때 판단의 기준은 과거의 비용이 아니라 앞으로의 비용과 수익입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항상 부딪치는 매몰비용과 기회비용입니다.
이에 대한 명쾌한 유권해석을 사례와 같이 해주셔서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