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이란? 중고차 시장에 좋은 차가 없는 이유

역선택(adverse selection)이란 누군가와 거래를 하는데 나에게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불리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조금 어렵게 표현하면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불리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거래를 한다면 정보가 부족한 사람이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유리한 선택을 하고자 하지만 정보 … 더 읽기

경제용어 도덕적 해이 & 해결방법

윤리에서나 쓰일 것 같은 도덕적 해이라는 용어는 사실 지극히 경제적인 용어입니다. ‘해이’를 국어 사전에서 찾아보면 ‘긴장이나 규율 따위가 풀려 마음이 느슨함’이라고 되어 있으니 도덕적 해이는 도덕적인 규율이 풀린 느슨함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경제학에서는 꼭 이런 의미로 쓰고 있지는 않습니다. 도덕적 해이란? 경제 용어로서의 도덕적 해이는 다분히 의도적으로 규율을 지키지 않거나 규율의 허점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 더 읽기

가치의 역설과 한계혁명

‘보이지 않는 손’ 이라는 개념으로 시장 경제를 이해 하는데 큰 기여를 한 ‘아담 스미스’ 에게도 풀기 어려운 숙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가치의 역설입니다. 가치의 역설(Paradox of Value)이란? 이 세상에 물이 없다면 인간은 생존할 수 없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없어도 생존에는 큰 문제가 없지요. 물의 사용가치는 아주 크지만 다이아몬드의 사용가치는 물에 비할 것이 못됩니다. 그런데, 가격으로 들어가 보면 … 더 읽기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의 의미는?

어제 저녁 뉴스와 오늘 경제 신문에는 소비자심리지수가 떨어졌다는 기사가 많네요.   소비자심리지수 (CSI : Consumer Sentiment Index 또는 Consumer Survey Index)란? 한국은행이 생활형편, 경기상황 등에 관한 소비자의 응답결과를 집계하여 작성하는 지수입니다. 소비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6개의 지수(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계획)를 종합하여 분기마다 발표하는 것으로 일반 소비자가 앞으로의 경기형편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를 보여 … 더 읽기

금리와 자산가격의 관계

주식, 채권, 펀드, 부동산의 가격을 자산가격이라고 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자산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금리와 자산가격은 서로 반대로 움직입니다. 금리와 자산가격이 왜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조금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돈의 흐름(수요와 공급)을 살펴 봄으로써 둘의 관계를 살펴 볼 수도 있고,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