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시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 3가지

환율 하락시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

원래는 환율 하락과 주가 상승 조합이 아니었습니다. 예전에는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 가격 경쟁력이 나빠지기 때문에, 즉 달러 표시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수출이 악화되어 주가가 하락한다고 얘기 했습니다. 그런데, 실제 지표를 보니 그렇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아래 차트를 한번 보시죠. 왼쪽 축에 종합주가지수, 오른 쪽 축에 원-달러 환율(이하 환율)을 놓고 차트를 그려 보니 환율이 하락할 때 주가는 … 더 읽기

미국 게임스탑 주가 폭등의 배경: 공매도 역압박(short squeeze)

게임스탑 공매도 역압박

미국 게임스탑(GameStop Corp:GME) 주식은 주식 시장에서 떠도는 은어로 치면 잡주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 1월 말, 온 세계의 관심을 받게 됩니다. 2020년 초에 4달러 정도에 불과하던 주식이 2021년 1월 29일 시점으로 325달러를 찍었으니 관심을 받을 만 하죠. 수익률 5,000%를 실현 했다는 기사도 나옵니다. 그것도 10살 소년이 말입니다. 게임스탑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키워드는 두 가지 … 더 읽기

실업급여 받고 있다면 연말정산 해야 하나?

실업급여 받은 금액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연말정산을 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는 경우 연말정산을 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경우도 있고, 본인의 선택에 연말정산을 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연말정산을 하기로 결정했다면 중도 퇴직자의 연말정산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실업급여에 대해 연말정산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연말정산을 통해 연말정산 환급 신청을 할 … 더 읽기

연평균 성장률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나?

연평균 성장률(Compounded Annual Growth Rate:CAGR)은 경제 관련 자료나 경영 보고서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얼마나 성장 했는지를 연 평균으로 따져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연평균 성장률은 연평균 증가율이기도 하고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연평균 수익률이기도 합니다.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연 평균 실질 GDP에 의한 경제 성장률을 알아 봄으로써 그 나라의 경제 전망을 예측해 볼 … 더 읽기

소비자 물가지수란? 공식, 계산 과정과 활용

소비자 물가지수란?

10년 전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 있는 물건 양과 현재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는 있는 물건 양은 다릅니다. 화폐의 구매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마련입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율이 얼마 인지를 계산할 때 소비자물가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과거의 금액이 현재는 얼마 정도 가치가 있는 지 환산해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느끼는 물가 … 더 읽기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전략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문제는 본인이 공제할 수 있는 항목과 배우자가 공제할 수 있는 항목이 겹친다는 점에서 비롯됩니다. 예컨대 자녀는 본인의 부양가족이기도 하지만 배우자의 부양가족이기도 하죠. 그렇다고 해서 자녀에 대한 세액공제는 부부가 중복해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 누군가 몰아서 받거나 아니면 겹치지 않게 배분해서 받아야 합니다.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의 핵심은 부양가족 관련 공제를 누가 받을 것인가 하는 … 더 읽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연말정산을 하다보면 소득공제 항목이 있고 세액공제 항목이 있다는 알게 될 것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둘 다 세금을 줄여 주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하는 것인데, 예컨대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공제 항목이고, 보장성 보험료는 세액공제 항목입니다. 두 가지를 구분하지 말고 그냥 공제항목으로 통일하면 될 것을 굳이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소득공제는 무엇인지 또 세액공제는 무엇인지를 … 더 읽기

연말정산시 한계세율이란? 또 활용법은?

한계세율

한계세율(marginal tax rate)은 마지막 한 단위 소득 증가분에 적용되는 세율이라고 정의합니다. 그러나 이 정의 보다는 납세의무자 본인의 소득 구간에 적용되는 명목세율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실용적입니다. 약간의 배경 설명이 필요한데요, 한계세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례세율과 누진세율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례세와 누진세 세금 부과 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면 하나는 비례세(flat tax)이고 다른 하나는 누진세(progressive tax)입니다. 비례세는 … 더 읽기

래퍼 곡선과 공급 중시 경제학

래퍼 곡선

경제와 정치의 영역은 다릅니다만, 경제가 정치의 영역으로 빨려 들어가거나 정치가 경제를 이용하는 듯한 경우를 가끔 볼 수 있습니다. 래퍼 곡선과 관련된 주장이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래퍼 곡선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래퍼 곡선을 믿는 자들이 정치를 하고 싶어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래퍼 곡선은 최소한 정치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래퍼 곡선이란? 래퍼 곡선(Laffer Curve)은 아서 래퍼(Arthur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