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밴 마늘 냄새 없애는 법, 힌트: 스테인레스

우리나라 음식도 그렇고 세계의 유명한 음식에도 마늘은 거의 빠지지 않죠. 그런데 요리를 하기 위해 마늘을 다루고 나면 손에 밴 마늘 냄새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직업상 매일 마늘을 만지는 것이 아니라면 사실 2~3일 지나면 마늘 냄새는 저절로 없어지긴 합니다. 다만, 2~3일을 기다릴 여유가 없습니다. 불편한 냄새는 단 몇 초도 견디기 어려워 하는 것이 사람이니까요. 그런데 스테인레스로 마늘 … 더 읽기

비과세 해외펀드(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란? 투자 방법?

같은 금융상품이라도 하나는 세금 혜택이 없고 다른 하나는 세금이 비과세 되는 혜택이 있다면, 비과세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당연한 선택입니다. 2016년에 주목해야 할 두 가지 비과세 금융상품이 출시 되었으니, 하나는 ISA이고 다른 하나는 오늘 설명할 비과세 해외펀드(비과세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입니다. 비과세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란? 전용 계좌를 만들어서 해외 주식에 60% 이상을 투자하는 ETF나 펀드에 투자하면 계좌를 … 더 읽기

은행 적금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저축 하는 방법

때로는 계획했던 것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동기부여만 된다면 적극적으로 일을 진행하기도 하지요. 저축 하는데 약간의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면 아래의 저축 하는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스마트폰으로 SNS를 하거나 문서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도중에도 잠깐의 시간을 내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나는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는데 도움 되는 은행 저축 상품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 더 읽기

포스트잇 잘 안 떨어지게 하는 법

위 이미지 중 어떤 것이 잘 붙은 포스트잇 일까요? 당연히 오른쪽 입니다. 오른쪽 포스트잇이 왼쪽 것보다 오래 동안 붙어 있기 때문인데요, 아래 부분이 말려 올라가 있지 포스트잇에 적은 내용을 확인하기에도 좋습니다. 몇 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거나 잘 잊어버리는 내용이 있을 때 포스트잇은 유용합니다. 벽에 붙여 놓기도 하고 모니터 옆에서 붙여 놓기도 하며 보드에 붙여 놓기도 … 더 읽기

안드로이드폰 크롬 브라우저 리더 모드 켜는 법

안드로이드 폰으로 웹 서핑할 때 아래 이미지의 오른쪽 화면처럼 웹 페이지를 읽을 수 있다면 가독성이 높아져 글 내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까요? 불필요한 것들은 잘라 버리고 내용만 눈에 잘 들어오게 배치해 주기 때문에 저는 자주 이용하고 있는데요, 안드로이드 폰에 깔려 있는 크롬 브라우저에 숨어 있는 ‘리더 모드(reader mode)’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됩니다. 그럼 크롬 모바일 … 더 읽기

ETN과 ETF 차이: ETN 투자 전 알고 있어야 할 것들

ETN은 최근에(2014년 11월) 국내에 상장된 파생결합증권이다. 신한레버리지 WTI 원유 선물 ETN(H) 같은 경우는 상장된지 1개월 만에 40% 수익을 올리며 관심을 끌고 있다. ETF를 버리고 ETN으로 갈아탈까?라는 질문이 생길 정도인데, 내용도 모르고 투자 하는 것은 위험한 법, ETN 이란 무엇이고 장점과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ETN 이란? ETN은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로 우리말 이름은 상장지수채권을 쓰기도 … 더 읽기

비과세 종합통장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사용법

비과세 금융상품이었던 재형저축도 소장펀드도 더 이상 새로 가입할 수 없다. 비과세 금융상품이 사라지고 있는 와중에 나름 강력한 비과세 금융상품이 새로 생겼으니 바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이다. 잠시 후 자세히 살펴 보겠지만 ISA에는 문제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SA는 만들어 두는 것이 좋은데, 당장 급하게 맹목적으로 만드는 것보다는 먼저 ISA에 대한 개념을 잡아 두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ISA란 무엇이고, 혜택은 … 더 읽기

저축 늘어나는 것보다 순자산 증가가 더 중요한 이유

의사가 약을 처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이야기를 들어 보고 환자의 상태를 진단한다. 정확한 진단 없이 처방이 있을 수 없다. 재테크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재무 상태에 대한 진단 없이 어떻게 부(富)를 쌓을 수 있겠는가. 현재의 재무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저축액은 얼마인지 투자액은 얼마인지 빚은 얼마나 남았는지 등을 따져 보아야 하는데, 이 과정은 결국은 순자산을 계산하고 순자산의 증가 추이를 추적하는 … 더 읽기

절약에 대한 오해 3가지

절약이라고 하면 웬지 싸구려 냄새가 난다. 자린고비 이야기가 떠 오르며 구차 스럽기도 한 것 같다. 그런데 자린고비 이야기의 백미는 흉년이 들 때 그렇게 절약해서 모은 곡식을 이웃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어 사람을 살렸다는 것이다. 물론 절약한다고 해서 굴비를 천장에 메달아 놓고 밥을 먹을 정도로 극단을 달릴 필요는 없다.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절약이란 그렇게까지 극단적인 것으로 다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