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두 시장은 어떻게 다른가?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코스피(KOSPI)는 코스피 시장, 코스닥(KOSDAQ)은 코스닥 시장을 의미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는 시장의 차이입니다. 서울로 치면 청계천 방산시장과 동묘 벼룩시장에서 주로 거래되는 품목이 다른 것처럼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성격이 다릅니다. 여기서 거래되는 주식이 다르다는 의미는 주식 자체가 다르다는 의미가 아니라 주식의 배경에 있는 기업의 특성이 다르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기업의 주식이라는 ‘일반적인’ 주식이라는 점에서는 코스피와 … 더 읽기

외부효과, 시장실패 그리고 외부효과의 내부화

외부효과

외부효과는 시장(市場)밖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외부’효과라고 합니다. 제가 보기엔 시장안에서 일어나는 지극히 내부적인 문제이지만, 모든 경제학자가 다 ‘외부’효과라고 하니 이 명칭을 따를 도리밖에는 없습니다. 명칭이 중요한 건 아니니까 외부효과란 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본 후 외부효과 사례와 외부효과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부효과란? 외부효과(externality)란 경제주체가 수행한 행위로 그 행위에 참여하지도 … 더 읽기

환율 하락시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 3가지

환율 하락시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

원래는 환율 하락과 주가 상승 조합이 아니었습니다. 예전에는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 가격 경쟁력이 나빠지기 때문에, 즉 달러 표시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수출이 악화되어 주가가 하락한다고 얘기 했습니다. 그런데, 실제 지표를 보니 그렇지 않더라는 것입니다. 아래 차트를 한번 보시죠. 왼쪽 축에 종합주가지수, 오른 쪽 축에 원-달러 환율(이하 환율)을 놓고 차트를 그려 보니 환율이 하락할 때 주가는 … 더 읽기

미국 게임스탑 주가 폭등의 배경: 공매도 역압박(short squeeze)

게임스탑 공매도 역압박

미국 게임스탑(GameStop Corp:GME) 주식은 주식 시장에서 떠도는 은어로 치면 잡주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 1월 말, 온 세계의 관심을 받게 됩니다. 2020년 초에 4달러 정도에 불과하던 주식이 2021년 1월 29일 시점으로 325달러를 찍었으니 관심을 받을 만 하죠. 수익률 5,000%를 실현 했다는 기사도 나옵니다. 그것도 10살 소년이 말입니다. 게임스탑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키워드는 두 가지 … 더 읽기

계란 냉장고 보관 기간과 안전한 보관법

계란 냉장고 보관 기간

계란을 냉장고에 보관하는 이유는 좀 더 오래 보관하기 위해 서죠. 요리를 위해서 라면 냉장고 보다는 상온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여름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지만요. 어쨌든 보관 기간을 늘리려면 냉장고에 보관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관 기간은 며칠이 적당할까요? 한 달 또는 두 달? 계란 냉장고 보관 적정 기간 계란을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은 30일 즉, 한 달이라고 알려져 … 더 읽기

실업급여 받고 있다면 연말정산 해야 하나?

실업급여 받은 금액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연말정산을 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는 경우 연말정산을 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경우도 있고, 본인의 선택에 연말정산을 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연말정산을 하기로 결정했다면 중도 퇴직자의 연말정산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실업급여에 대해 연말정산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연말정산을 통해 연말정산 환급 신청을 할 … 더 읽기

연평균 성장률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나?

연평균 성장률(Compounded Annual Growth Rate:CAGR)은 경제 관련 자료나 경영 보고서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얼마나 성장 했는지를 연 평균으로 따져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연평균 성장률은 연평균 증가율이기도 하고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연평균 수익률이기도 합니다.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연 평균 실질 GDP에 의한 경제 성장률을 알아 봄으로써 그 나라의 경제 전망을 예측해 볼 … 더 읽기

소비자 물가지수란? 공식, 계산 과정과 활용

소비자 물가지수란?

10년 전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 있는 물건 양과 현재의 100만 원으로 구입할 수는 있는 물건 양은 다릅니다. 화폐의 구매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마련입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율이 얼마 인지를 계산할 때 소비자물가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과거의 금액이 현재는 얼마 정도 가치가 있는 지 환산해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느끼는 물가 … 더 읽기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전략

맞벌이부부 연말정산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문제는 본인이 공제할 수 있는 항목과 배우자가 공제할 수 있는 항목이 겹친다는 점에서 비롯됩니다. 예컨대 자녀는 본인의 부양가족이기도 하지만 배우자의 부양가족이기도 하죠. 그렇다고 해서 자녀에 대한 세액공제는 부부가 중복해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 누군가 몰아서 받거나 아니면 겹치지 않게 배분해서 받아야 합니다.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의 핵심은 부양가족 관련 공제를 누가 받을 것인가 하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