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이란? 중고차 시장에 좋은 차가 없는 이유

역선택(adverse selection)이란 누군가와 거래를 하는데 나에게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불리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조금 어렵게 표현하면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불리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거래를 한다면 정보가 부족한 사람이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유리한 선택을 하고자 하지만 정보 … 더 읽기

경제용어 도덕적 해이 & 해결방법

윤리에서나 쓰일 것 같은 도덕적 해이라는 용어는 사실 지극히 경제적인 용어입니다. ‘해이’를 국어 사전에서 찾아보면 ‘긴장이나 규율 따위가 풀려 마음이 느슨함’이라고 되어 있으니 도덕적 해이는 도덕적인 규율이 풀린 느슨함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경제학에서는 꼭 이런 의미로 쓰고 있지는 않습니다. 도덕적 해이란? 경제 용어로서의 도덕적 해이는 다분히 의도적으로 규율을 지키지 않거나 규율의 허점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 더 읽기

인플레이션이란 …, 그 원인은?

경제생활을 하다 보면 인플레이션이란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한번 쯤은 정리를 해 둘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또 그 원인이 무엇인지도 알아 두며 좋겠습니다. 인플레이션 이란? 전반적인 물가 수준과 서비스 가격 수준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단순한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 이고 지속적인 가격 상승 이어야 합니다.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은 오를 … 더 읽기

가치의 역설과 한계혁명

‘보이지 않는 손’ 이라는 개념으로 시장 경제를 이해 하는데 큰 기여를 한 ‘아담 스미스’ 에게도 풀기 어려운 숙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가치의 역설입니다. 가치의 역설(Paradox of Value)이란? 이 세상에 물이 없다면 인간은 생존할 수 없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없어도 생존에는 큰 문제가 없지요. 물의 사용가치는 아주 크지만 다이아몬드의 사용가치는 물에 비할 것이 못됩니다. 그런데, 가격으로 들어가 보면 … 더 읽기

퇴직연금제도란? 퇴직연금 제도 이해 하기

‘3층으로 하는 노후대비’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은퇴 후 경제적으로 편안한 삶을 위해서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세 가지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중 퇴직연금에 대해 알아 볼 텐 데요, 직장이 모두가 퇴직연금을 갖고 있지는 않다는 점부터 언급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퇴직연금 대신 퇴직금을 받는 사람도 많으니, 노후 대비 3층 구조는 정확하게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또는 퇴직금 그리고 … 더 읽기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의 의미는?

어제 저녁 뉴스와 오늘 경제 신문에는 소비자심리지수가 떨어졌다는 기사가 많네요.   소비자심리지수 (CSI : Consumer Sentiment Index 또는 Consumer Survey Index)란? 한국은행이 생활형편, 경기상황 등에 관한 소비자의 응답결과를 집계하여 작성하는 지수입니다. 소비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6개의 지수(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계획)를 종합하여 분기마다 발표하는 것으로 일반 소비자가 앞으로의 경기형편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를 보여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