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저축 vs. 투자, 차이점은?
이미 지나간 과거의 일이지만 저축만 열심히 해도 집도 사고 노후 대비까지 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제 저축 이자는 연 2%도 안 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의 재테크는 저축뿐 아니라 투자도 포함해야 하는 거죠. 그런데 저축과 투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저축과 투자의 차이 4가지 #1. 원금보장 vs. 원금손실 가능 저축은 원금 보장이 되지만, 투자는 … 더 읽기
투자의 3요소의 의미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다음 3가지를 꼽습니다. 안전성 수익성 유동성 위 세 가지를 재테크의 3원칙이라고 소개하는 글도 있지만, 이는 끼워 맞춘 것일 뿐 오래 전부터 투자의 3요소로 거론되어 온 것입니다. 투자의 3요소 어쨌든 3요소 각각을 뜯어 보면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투자할 때 셋 중의 어느 하나만을 고려할 것이 … 더 읽기
10억 모으기 성공하기 위한 5가지 기본 원칙
10억 모으기의 의미? 우리나라에서 재산 10억 이상의 부자는 얼마나 될까요? KB 금융의 2012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14만 2천 명으로 추산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재미 있는 것은 10억 이상을 모으기는 했지만 이들 중 68%는 자신이 부자가 아니라고 생각 한다는 거죠. 맞다고 생각 합니다. 10억 이라는 기준을 자로 재서 그 이상은 부자고 그 미만은 부자가 아니라고 말할 … 더 읽기
재테크 방법 가이드라인 10가지
1. 재테크는 숫자 게임이 아니다 재테크 서적을 읽다 보면 여러 가지 비율이 나옵니다. 투자에 관한 포트폴리오도 그 핵심은 몇대몇의 비율로 투자 할 것인가를 의미하는 것이죠. 숫자에 강해야 재테크에 성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재테크에 성공한 사람은 수학자여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성공한 사람을 만나보면 숫자를 무시하지는 않을지언정 숫자 전문가들은 아니죠. 효율성을 생각한다면 숫자를 무시 할 수 없겠지만, … 더 읽기
금융상품 실수 없이 잘 선택하는 법
예금, 적금, 투자보험, 펀드 등과 같은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 초보자는 수익성만을 보고 결정합니다. 그러나, 시행착오를 거치며 재테크 경험을 쌓다 보면 다른 기준도 고려해야 함을 알게 되죠.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고 합니다. 1. 수익성 이때 수익성은 세금과 비용을 공제하는 후의 수익성입니다. 이자수익에는 15.4%의 이자가 붙고(세금우대로 가입한 경우에는 9.5%), 펀드에는 판매보수, … 더 읽기
재테크에서 레버리지 효과란?
레버리지(leverage)란 지렛대란 뜻입니다. 따라서 말 뜻으로 보자면 레버리지 효과란 무언가가 지렛대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죠. 기업에서는 레버리지 분석을 합니다. 사실 재테크에서의 레버리지 효과는 이 레버리지 분석 기법과 이에 따른 의사결정 기법을 적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재테크에서의 레버리지 효과가 무엇인지 알아 보려면 기업 재무에서의 레버리지 분석을 살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기업에서의 레버리지 분석이란 … 더 읽기
한국의 부자 보고서
한국의 부자들은 어떻게 부(富)를 모았으며, 요즘의 경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금융기관을 이용하고 있을까? 씨티은행에서는 금융자산 상위 10%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부의 축적에서 투자방법, 부동산 및 경제 전망, 금융 거래 행태, 그리고 가족의 해외 유학 및 거주 계획까지 그들의 삶과 부를 조사하였다. 씨티은행 한국의 부자보고서는 부동산을 제외한 금융자산을 기준으로 상위 10%(2009년 NICE R&C에서 15,202명을 대상으로 한 금융시장 … 더 읽기
재테크, 어디서부터 시작할까?-재테크 기본 10가지 법칙
재테크를 시작해 보려 하는데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참고 하세요. 절대 법칙은 아니고요, 필요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한번 훑어 보시기 바랍니다. 1. 시작은 미약하나 끝은 창대 하리니, 작은 데서부터 출발합니다. 큰 목돈을 빠른 시간에 버는 것이 재테크라는 생각은 버리고, 기본에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통장 쪼개기부터 시작해서, 적금통장 마련하는 것이 제1 순서입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