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가지 좋은 펀드 고르는 기준

좋은 펀드 고르는 기준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펀드 투자를 처음 하는 분들은 대부분 은행이나 증권사 직원이 추천하는 펀드에 투자할 것입니다. 그런데 “팔은 안으로 굽기 마련.”이라는 말 아시지요. 은행이나 증권사 직원이 골라 주는 펀드는 객관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직원이 온전히 고객의 이익에만 봉사하는 펀드를 추천하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하더라도 회사의 방침을 어길 수는 없는 것이 직원의 … 더 읽기

펀드평가방법 중 2가지: 베타와 젠센의 알파

여러 가지 수치가 펀드 평가 방법으로 이용됩니다. 펀드 수익률만을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보는 경향도 있지만, 몇 가지 다른 요소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베타와 젠센 알파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펀드 평가할 때 샤프 지수란?

펀드 A의 수익률은 15%, 펀드 B의 수익률은 8%, 그런데 펀드 A에 투자하지 말고 펀드 B에 투자하라는 권고를 듣는다면 따라야 할까? 펀드 평가 지수 중의 하나인 샤프 지수에 따른다면 B를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 결정일 수도 있게 된다. 예컨대 펀드 A의 위험도를 측정 했더니 10% 이고, 펀드 B의 위험도는 4% 라면 펀드 A는 위험 대비 1.5배의 … 더 읽기

펀드평가지수 샤프 지수란?

펀드가 얼마나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지 평가 하기 위한 평가 지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샤프 지수 이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A 펀드의 수익률은 15% 이고 B 펀드의 수익률이 8%다. 여기까지만 보면 A 펀드가 더 좋은 펀드이다. 그런데, A 펀드의 위험도를 측정 했더니 10% 이고, B 펀드의 위험도는 4% 라면 … 더 읽기

롱쇼트 펀드란 무엇이고 주의할 점은?

롱쇼트 펀드란 롱쇼트(long-short) 전략을 추구 하는 펀드 입니다. 롱쇼트 전략은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매수하고(Long), 주가가 내릴 것 같은 종목 주식이나 지수선물을 공매도하는(Short) 전략입니다. 롱쇼트 펀드의 장점 주가라는 것이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는 법입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수익이 나고 하락하면 손실이 발생하는 거죠. 그런데 주가가 하락한다고 해서 꼭 손실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공매도 방법을 잘만 … 더 읽기

펀드 평가 지수, 젠센의 알파

펀드를 평가하려면 수익률만 보면 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수익률이라도 감수한 위험이 적다면 그 펀드의 수익률이 더 값질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한 평가 지수가 샤프 지수죠. ‘젠센의 알파(Jensen’s Alpha)’는 줄여서 그냥 ‘알파’ 라고도 하는 것으로 펀드 매니저의 능력을 평가 하는 지수 입니다. 펀드에 투자한 고객을 대신 하여 펀드를 실질적으로 운영 하는 사람이 바로 펀드 … 더 읽기

펀드 투자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펀드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에는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가입한 펀드 종류에 따라 이 네 가지 수익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얻게 됩니다. 반면에 비용도 발생하죠. 따라서 펀드에 투자할 때 어떤 종류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 인가만 볼 것이 아니라 비용은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 또한 보아야 현명한 투지가 될 것입니다. 아래에서 펀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