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라토리엄 이란?

모라토리엄 이란?

모라토리엄(moratorium)은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지체하다’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뭔가를 늦추거나 유예(猶豫)할 때 사용됩니다. 목차: 모라토리엄이란? 모라토리엄과 디폴트의 차이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는 어떻게 되나? 모라토리엄 vs. IMF 구제금융 모라토리엄 사례 후버 모라토리엄 1998년 러시아 1997년 말레이시아 2010년 성남 모라토리엄이란 무엇인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다.’처럼 모라토리엄이 상징하는 어떤 행동(주로 뭔가를 하지 않는 행동)을 할 것을 선언하는 식으로 사용합니다. 예를 … 더 읽기

수요의 교차탄력성, 대체재 또는 보완재 가격에 대한 탄력성

목차: 수요의 교차탄력성이란? 교차 탄력성과 수요의 변화 수요의 교차탄력성 공식과 계산 예 대체재와 보완재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의 교차탄력성 부호 대체재의 가격 변화에 대해 교차탄력성이 양의 부호를 갖는 이유 보완재의 가격 변화에 대해 교차탄력성이 음의 부호를 갖는 이유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차이 수요의 교차탄력성이란? 수요의 교차탄력성(cross-price elasticity of demand)은 다른 재화 또는 서비스(이하 재화)의 … 더 읽기

공급의 가격탄력성 설명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란? 공급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supply)은 공급 법칙을 좀 더 깊게 들여다보는 수치입니다. 공급 법칙은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공급량이 준다는 것을 알려 주지만,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 때 공급량이 얼마나 늘어나는지/줄어드는지까지를 알려 주지는 않죠. 가격 변화에 대해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또는 둔감하게) 변하는지를 알려 주는 수치가 바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입니다. 어떤 재화 또는 … 더 읽기

수요의 가격탄력성 설명, 공식, 응용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어떤 재화(또는 서비스)의 수요가 그 재화(또는 서비스)의 가격 변화에 대해 얼마나 탄력적으로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가격이 변화면 수요가 얼마나 탄력적으로 또는 비탄력적으로 변하는가를 알기 위해 필요한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가격을 올리거나 내릴 때 수요가 얼마나 변할 것인가와 같은 문제와 그 결과 총 수입은 과연 줄 것인가 아니면 늘 것인가와 … 더 읽기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의 차이

수요 법칙은 가격이 변하면 수요량은 가격과 반대 방향으로 변하고, 해당 재화 가격외 다른 요소가 변하면 수요가 변하여 수요 곡선이 이동한다는 것이다. 수요 법칙은 수요량의 변화를 수요 곡선 상에서의 변화로 보고, 수요의 변화는 수요 곡선 자체가 변함에 따른 변화로 본다.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변화의 원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수요량의 변화란? 수요량의 변화에 해당하는 … 더 읽기

배당주란? 관련 용어와 배당주 찾는 법까지 설명

배당주란? 기업은 회계 결산을 통해 이익이 나면 이를 기업 내에 유보하거나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으로 배당을 한다. 배당주란 현금으로 배당을 하는 주식이다. 주식으로 배당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배당 투자 목적에 맞는 배당주는 현금 배당을 하는 주식이다. 단, 배당주라는 이름이 붙는다고 해서 기업이 배당주를 별도로 발행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은 거의 보통주 아니면 우선주이고, 보통주 중에 … 더 읽기

우선주·보통주 차이 설명, 중요한 건 투자 목적의 차이

기업이 주식을 발행할 때 대부분의 경우 보통주로 발행한다. 주식 투자도 거의 보통주 투자다. 주식 투자는 당연히 보통주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주’에 투자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냥 ‘주식에 투자한다’고 말하지. 상장 기업 중에는 간혹 보통주 발행에 더불어 우선주를 발행하기도 한다. 모든 기업이 보통주 및 우선주를 발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기업이 우선주도 발행한다. 삼성전자, 현대차, 아모레, CJ … 더 읽기

시장가 주문: 지정가 주문과 다른 점가 주의해야 할 내용

시장가 주문은 가장 빨리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있는 주문 방식입니다. 지정가 주문과 함께 2가지 대표적인 주식 주문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일반 투자자가 주식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낼 때 선택하는 방법은 시장가 아니면 지정가 주문입니다. 안전성으로 따지면 지정가 주문을 해야 하지만, 때로는 시장가 주문을 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시장가 주문이란?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에서 HTS로 … 더 읽기

지정가 주문이란 무엇이고 언제 써야 하는 주문 방식인가?

지정가 주문 방식은 시장가 주문 방식과 함께 가장 많이 쓰는 주식 주문 방식입니다. 투자 종목을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언제 지정가로 주문하고 언제 시장가로 주문해야 아는지를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식을 사거나 파는 방식에는 지정가 주문 방식 말고도 시장가 주문, 최우선 지정가 주문, 최유리 지정가 주문, IOC, FOK 방식이 있는데요, 오늘은 기본 방법인 지정가 주문에 대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