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로부터도 배우지만 실수로부터도 배우는 것이 사람입니다. 잘 알고 있는 듯도 하지만 흔하게 하는 돈과 관련된 실수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아래 실수들 중 하나라도 해당 되는 것이 있지는 않은 지 점검해 보세요.
펀드가 얼마나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지 평가 하기 위한 평가 지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샤프 지수 이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 보자 A 펀드의 수익률은 15% 이고 B 펀드의 수익률이 8%다. 여기까지만 보면 A 펀드가 더 좋은 펀드이다. 그런데, A 펀드의 위험도를 측정 했더니 10% 이고, B 펀드의 위험도는 4% 라면 … 더 읽기
급하게 돈이 필요 하지만 당장에 찾아 쓸 수 없는 돈은 없을 때 대출을 받게 된다. 내집 마련이나 전세금 대출을 받는 것이 아니라면 신용 대출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대출은 해 주는 쪽이 갑(甲), 대출을 받는 쪽이 을(乙)이란 생각에 대출을 받게 되면 주눅이 들게 마련이지만, 사실 그래야 할 이유 같은 건 없다. 갑은 공짜로 대출을 해 주는 … 더 읽기
1,000만원 이하의 신용 대출을 보통 소액 대출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소액대출로 1,000만 원을 대출 받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은 300만 원 이내가 대부분이죠. 300만 원 이내의 급전이 필요할 때 사람들은 보통 마이너스 통장이나 현금 서비스 또는 카드론 (이하 현금 서비스 등)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급한 돈을 해결 하는 것 보다는 소액 대출을 받는 것이 더 현명할 … 더 읽기
사례로부터도 배우지만 실수로부터도 배우는 것이 사람입니다. 잘 알고 있는 듯도 하지만 흔하게 하는 돈과 관련된 실수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아래 실수들 중 하나라도 해당 되는 것이 있지는 않은 지 점검해 보세요.
‘보이지 않는 손’ 이라는 개념으로 시장 경제를 이해 하는데 큰 기여를 한 ‘아담 스미스’ 에게도 풀기 어려운 숙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가치의 역설입니다. 가치의 역설(Paradox of Value)이란? 이 세상에 물이 없다면 인간은 생존할 수 없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없어도 생존에는 큰 문제가 없지요. 물의 사용가치는 아주 크지만 다이아몬드의 사용가치는 물에 비할 것이 못됩니다. 그런데, 가격으로 들어가 보면 … 더 읽기
경험생명표가 변경될 즈음이면 연금보험의 연금 수령액이 줄어 든다든 지, 보험료가 인상 또는 인하 된다든 지 하는 기사가 나곤 합니다. 대체 경험생명표가 뭐길래 그럴까요? 경험생명표란? 생명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의 남·녀별, 연령별 생존연수를 관찰하여 사망률을 낸 통계표로 아래와 같이 성별로 해당 연령이 사망할 확률을 보여 줍니다. [table id=2 /] 그런데 경험생명표는 단순히 연령별 사망률 통계만을 포함 하는 것은 … 더 읽기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다음 3가지를 꼽습니다. 안전성 수익성 유동성 위 세 가지를 재테크의 3원칙이라고 소개하는 글도 있지만, 이는 끼워 맞춘 것일 뿐 오래 전부터 투자의 3요소로 거론되어 온 것입니다. 투자의 3요소 어쨌든 3요소 각각을 뜯어 보면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투자할 때 셋 중의 어느 하나만을 고려할 것이 … 더 읽기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은 기본적분석(Fundamental Analysis)을 할 때 빠지지 않는 대표적인 비율입니다. 가치투자를 할 때 중요하게 보게 되는 비율 이기도 하고 구체적으로는 저평가주를 고를 때 참고 하는 비율입니다. 주가수익비율 이란? 기업의 1주당 주식 가격을 1주당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1주당 당기순이익을 영어로는 EPS(Earnings Per Share)라고 표현하기 때문에 주가수익비율 계산 식은 ‘1주당 주가 ÷ EPS’ 라고 … 더 읽기
아래의 다섯 가지는 어쩌면 재테크 기본 원칙은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재테크가 돈을 불리는 것이라고 본다면 아래의 5가지는 돈을 불리는 기본 원칙이라고 볼 수는 없으니까요. 그러나 재테크를 돈을 모으고 그것을 늘려 나가는 것이라고 한다면 최소한 돈을 모으는 것에는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본 원칙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때로는 테크닉적인 측면 보다는 기본에 충실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신의 재테크를 … 더 읽기